최근 재건축 시공사를 선정한 서울 서초구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. <br /> <br />20층짜리 2개 동, 200세대 규모의 신축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공사비는 984억 원, 3.3㎡당 875만 원으로 책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[해당 시공사 관계자 : 최근 강남의 소형 단지 공사비가 평당 천만 원을 넘는 수준입니다. 원자재 가격 상승이라든가 최고급 사양을 적용하는 하이엔드(고급) 상품이란 점을 감안하면 평당 875만 원은 그렇게 높은 공사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." <br /> <br />지난해 서울 재건축·재개발 아파트 13곳의 3.3㎡당 평균 공사비 578만 원을 크게 웃돕니다.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 국토부는 기본형 건축비를 두 달 만에 또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1㎡당 건축비 상한 금액을 기존 185만7,000원에서 190만4,000원으로 조정한 겁니다. <br /> <br />합판 거푸집과 전력 케이블 같은 자잿값과 인건비가 각각 많게는 12%와 5% 오른 걸 반영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지난 7월에 이어 기본형 건축비를 추가로 인상하면서 공사비와 분양가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건설사들은 공사비를 정할 때 이번 건축비 인상을 가격을 올릴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[대형 건설사 관계자 : 저희가 공공기관에서 하는 입찰에선 이제 공사비 같은 거를 정확하게 제출해야 하는 그런 것들이 있잖아요. 그런 저희가 제안 사업이라든지 공공 입찰이라든지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저희가 조금 더 공사비를 올려 쓸 수는 있겠죠.] <br /> <br />기본형 건축비는 택지비와 택지 가산비 등과 함께 분양가 상한제 지역에서 분양가를 산정할 때 적용되는 요인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상한선까지 올릴 수 있는 사업장은 많지 않을 것이라면서 당장 분양가가 오를 가능성은 작다고 예측합니다. <br /> <br />[김진유 / 경기대학교 도시·교통공학과 교수 : 분양가 상한제 주택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상승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. 제가 건설 관계자들한테 좀 물어봤는데요. 분양가 상승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고, 그렇게 예상들을 하고 있습니다. 주택 시장이 별로 좋지 않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다만 부동산 경기가 회복하는 시기가 오면 분양가가 큰 폭으로 상승할 수도 있다는 게 업계의 관측입니다. <br /> <br />YTN 최기성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91519144138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